정부는 최근 세계 시장을 선도할 양산형 고속 전기 자동차를 출시했다고 공식 선언했다.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개발된 양산형 전기자동차인 ‘블루온(BlueOn)’은 1회 충전으로 140㎞를 달리고 최고 속도도 130㎞/h에 이를 정도로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고 있는데 오는 2014년경이면 양산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정부는 분석하고 있다.

이번 전기차 양산 체계 구축이 에너지 업계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수송 연료의 패러다임 전환의 시점이 크게 앞당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부는 오는 2015년 국내 소형차 시장의 10%를 전기자동차로 대체하고 2020년에는 국내 승용차 시장의 20%를 전기차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기차가 본격 보급되면 가격 경쟁력 면에서 경쟁 연료들은 비교 상대 조차 되지 않는다.

정부는 지난 7월 전기차 충전전력 요금제를 신설한 바 있는데 동일 조건의 차량을 기준으로 월 연료 유지비는 전기차의 경우 1만8000원에 불과하지만 휘발유는 13만원 수준으로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점의 문제일 뿐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퇴장이 예고되고 있고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그린카의 시장 장악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이제 화석 수송 연료 시장의 변화를 어떻게 맞이 하고 변화를 모색할 것인가가 모든 에너지 업계의 숙제다.

그런데 최근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전기 충전 시장은 기존 수송연료를 공급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시장과는 상당한 거리감을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 단위 충전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는데 2020년 까지 공공시설, 대형마트, 주차장 등에 충전기 220만대가 설치될수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차량 수요가 많은 곳에 전기 충전기를 설치하겠다는 것인데 주유소나 충전소 같은 화석연료 공급시설은 대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렇다고 주유소나 충전소가 전기자동차의 충전기 설치 대상에서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다.

환경부는 올해 초 GS칼텍스와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실증사업(EVE PROJECT) 협약식’을 갖고 서울과 인천, 과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로 했는데 그 과정에서 GS칼텍스가 운영중인 기존 주유소나 충전소 부지에 전기충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대형 할인마트가 수송용 연료 공급의 전진 기지 역할로 각광을 받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이미 전국적으로 9곳의 할인마트에서 주유소를 운영중인데다 정부는 마트주유소 확대를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가 상용화되면 충전 인프라가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설치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는데 그럴 경우 주유소나 충전소의 입지는 크게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집객도가 높은 마트의 시장 장악력은 주유소 사업에서 극명하게 입증되고 있다.

중소기업청 자료에 따르면 대형마트 주유소가 들어선 이후 반경 5㎞ 이내의 석유 수요 점유율이 최고 38%에 달할 정도로 파괴력이 높다.

전기충전 역시 마트의 시장 선점 효과는 엄청날 것이 분명하다.

화석연료에서 전기로 수송연료의 이동이 생각보다 빠를 것으로 예고되는 상황에서 주유소나 충전소 업계는 전기자동차 시대를 대비한 자구 노력에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