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태연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연구원 연구원장
석유에너지의 고갈, 지구 온난화,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자동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압의 수소기체를 저장하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수소가스의 특성은 가연범위가 넓고 연소화염 전파속도가 매우 빠른 가연성 가스로 안전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수소저장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안전성이 증가된 수소용기를 개발, 도입하고 차량에는 장기간 운행에 따른 연료장치를 구성하는 밸브 등이 고압과 진동에 잘 견뎌낼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장착돼야 한다.
두 번째로는 가격저감의 경제성이다.
고압의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기, 전기를 발생시키는 스택, 그리고 고압을 견뎌야 하는 밸브, 블로워 등의 구성품들이 매우 고가인 관계로 상용화에 큰 난관이 되고 있다. 다행히도 정부에서는 연료전지의 가격저감과 조기 실용화를 위해 많은 투자와 지원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머지않아 곧 해결이 될 것이다.
세 번째로는 수소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의 구축이다. 친환경적이고 혁신적인 차량을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 하더라도 수소충전소 같은 인프라시설이 구축되지 않고는 보급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초기에는 정부에서 이들 자동차나 관련 인프라에 대한 보급지원을 하고, 산업화가 어느 정도 진전된 시점에 가서는 시장경제에 맡겨야 될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가에서는 관련 충전시설 및 연료전지 제품에 대한 안전기준 개발과 법제화를 통해  이미 시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수소용기나 밸브에 대한 법제화는 국내 산업체 개발이 활성화되지 않았고 관련 시험인증장비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내 업체들의 용기 및 밸브의 개발에 대한 중장기적 대응 부재와 함께 국내 고압분야 시험인증장비의 미비로 인해 해외에서 전량 인증을 받음에 따라 외화유출 및 업체부담의 가중이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스안전을 전담하고 있는 가스안전공사에서는 시기적절하게 일반고압가스, CNG자동차,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등의 국내 고압분야 상황과 선진국 고압분야 기술선점에 따른 국가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고압용기와 부품 관련의 고압기기 국내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시험인증장비를 구축하고 있다.
국외의 경우는 독일의 BAM, 캐나다의 Powertech, 일본의 JARI에서 이러한 설비들을 일부 구축해시험 하고 있지만 700 bar의 초고압 수소용기에 대한 종합적인 시험인증을 할 수 있는 곳은 현재까지도 캐나다 Powertech과 일본 JARI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 고압기기 시험평가센터가 성공리에 잘 구축된다면 세계에서 세 번째로 700 bar 초고압 수소용기 및 밸브류 부품에 대한 종합적인 시험인증이 가능하게 된다.
그 파급효과로 국내 고압분야의 국가 경쟁력 제고, 제조업체 제품개발을 위한 설비지원 및 개발경비 절감, 고압분야 안전평가기술력 향상 및 고압분야 시험평가 연구기반기술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국내 고압기기 분야의 산업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고 안전한 제품사용으로 사고예방과 국민들의 안전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