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박병인 기자] 한 중학생이 자신이 전학가기 이전에 다니던 학교에 몰래 침입해 이동식 부탄가스통 2개를 터뜨려 교실을 아수라장으로 만드는 충격적인 영상이 담긴 동영상이 인터넷을 돌아다녀 큰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영상속의 이 학생은 “(폭발장면이)흥미롭군요”, “부탄가스를 한 개 더 가져오는건데”라고 말해, 죄의식 하나 없이 사전에 철저히 계획된 사건이었음을 암시했다.

이 학생은 결국 경찰에 붙잡혀 조사를 받았는데 조사과정에서 미국 버지니아 공대 총기난사사건의 용의자였던 조승희를 따라하고 싶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에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이동식 부탄가스통을 이용해 폭발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이동식 부탄가스통은 주변 편의점, 슈퍼 등에서 싼값에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한 범죄심리 전문가는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이동식 부탄가스통 등을 이용해 폭탄을 제조하는 방법은 인터넷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다”며 “제조과정도 매우 간단해 누구든지 폭탄을 제조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상기 사건처럼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유사범죄의 재발을 막기 위해 정부에서 나서서 규제하고 단속하는 할 수도 있지만, 일일이 단속하기엔 부탄가스, 인터넷 등은 너무 광범위하고 유통량도 많아 인원, 시간 등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극히 비정상적이고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막겠다고 생필품인 부탄가스 유통을 전면 차단할 수도 없다.

이런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으려면 한계가 있는 점검, 단속에 의존하기 보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찾아 해결해야 한다.

사람들의 안전의식 개선, 즉 교육이다.

실제로 이번에 일어난 ‘부탄가스 테러 사건’ 뿐만 아니라 한화 케미칼 폭발사고, 울산 대우조선해양 사고, 중국 톈진항 폭발 사고 등 최근에 발생한 가스사고들은 대부분 장비부실이나 안전장치 미흡에 의한 사고보다는 사람들이 일부러 혹은 실수로 일으킨 ‘인재’라는 점에서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이와 관련해 새누리당 장윤석 의원은 “정부는 하드웨어 중심의 안전점검보다는 사업장별 안전관리자, 위험물 취급자 등에 대한 철저한 교육과 국민들을 상대로 한 홍보 강화를 통해 가스안전사고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하며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어필했다.

장윤석 의원의 지적처럼, 지금까지 정부에서 추진해오던 기계, 장비, 안전장치 등 하드웨어 위주의 안전점검에서 작업자 안전교육, 국민홍보 위주로 가스안전점검 패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이미 통계에서도 반증하듯 가스안전사고 원인의 대부분은 사용자에게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