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관술 발행인.

제주도가 오는 2030년까지 도내 운행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다.

2030년 기준으로 제주도내 운행이 예상되는 37만7000대 모두를 전기자동차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도내 생산 전력 역시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전략이다.

전기 자체는 청정에너지이지만 생산과정에서 화석연료 등이 사용되면서 겉과 속이 다르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데 제주도 전기에너지가 바람으로 생산되면 그 속도 깨끗한 에너지가 된다.

제주도가 내세우는 전기자동차의 컨셉이 ‘바람으로 달리는 자동차’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전기자동차 보급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고 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말 열린 녹색성장위원회 회의에서 ‘2015년을 전기자동차 상용화 기반 조성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올해 전기자동차 보급 댓수를 3000대로 확대하고 차량 구매 과정에서 지원되는 최대 420만원의 세제 혜택을 2017년까지 연장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전기자동차의 종류도 다양화시키는데 단순 승용차 위주에서 택시, 버스, 화물차량 등으로 확대된다.

제주도에서는 이미 전기자동차 배터리 임대사업과 민간 충전사업이 시범 실시되면서 산업화가 시도되고 있다.

청정하게 생산된 전기로 달리며 배출가스 등 오염물질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는데 이견은 있을 수 없다.

다만 수출 전략으로 성장하고 있는 정유사나 또 다른 청정에너지인 가스 사업자에 대한 육성이 전제돼야 한다.

에너지는 곧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균형적인 에너지 믹스는 중요한 절대 가치가 돼야 하기 때문이다.

하부 유통 사업자들인 수많은 주유소나 충전소에 대한 출구전략도 마련돼야 한다.

신산업의 등장 이면에서 사양화되는 산업 역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당장 전국 모든 자동차가 전기 배터리로 대체되지는 않겠지만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면 정부는 시장에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해 에너지 사업자들이 에너지 신산업으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주유소나 충전소 등 유통 인프라 역시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 신산업 시대의 도래에 맞춰 전업하거나 새로운 에너지의 유통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제시돼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제주도에서 추진되는 내연기관차량 연관 산업에 대한 상생방안 모색은 시의적절한 고민으로 해석된다.

전기자동차가 확대 보급되면서 시장에서 퇴출되는 산업과 어떻게 공존하고 상생할 것인가에 대해 제주도는 내년에 연구 용역을 발주한다는 계획인데 중앙정부도 기존 에너지 산업과 에너지 신산업이 균형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저감이 에너지 산업의 중요한 패러다임이 되고 있는 만큼 에너지 신산업을 선도적으로 육성, 발전시키는 것은 국가 경쟁력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그 한편에서 기존 에너지 산업과 신산업이 서로 융화되고 공생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은 반드시 모색돼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