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정부는 지난해말 에너지 신산업 확산 정책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시내버스 3만3000여대를 전기차로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부터는 전기차 연관 산업 육성을 위해 전기차 제작·부품·개조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금융, 네트워크 등도 본격 지원된다.

유가하락에 의한 가격경쟁력 악화와 유로 6 경유버스의 출시 등으로 위기에 직면한 CNG 업계를 더욱 암울하게 만드는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사실 CNG 연료가 이처럼 도태되는 이유에는 CNG(압축천연가스)가 더이상 가공할 수 없는 청정연료 그 자체였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여기에 정부의 대폭적인 지원정책이 있어왔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어떠한 기술개발이나 마케팅 활동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이 아닐까.

지금은 은퇴한 가스업계 한 원로를 행사장에서 만난적이 있다. 그는 현재 이 같은 CNG업계 어려움은 이미 예견됐던 것이라는 말과 함께 현실에 안주했던 지난날을 돌이키며 반성한다고 고백했다.

그의 요지는 전기차의 경우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2차 에너지이고, 경유 역시 청정성 면에서는 가스에 상대가 되지 않았기에 이렇게 시장이 빠르게 변화할 줄은 당시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CNG가 향후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차량과 경쟁하려면 단순한 이미지 홍보활동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진단한다.

완성차 시장으로의 진입이 당장 힘들다면 기존 CNG 버스와 택시 시장을 지키기 위한 방어 전략도 우선 시급히 추진해야 할 것이다.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말이 있지만 역설적으로 방어가 최선의 공격일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천연가스 관련 인프라를 갖추고도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고민을 안했다고 지적하며, 저탄소 시대에 천연가스가 브릿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신재생에너지(수소․연료전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물결이다. 이 가운데서 CNG가 더이상 도태되지 않고 청정연료로서의 역할을 지켜가는 것은 업계의 몫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