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조은영 기자] 전기차 보급에 앞장을 서고 있는 한 정부기관 관계자는 개인적으로 전기차를 구매하라고 한다면 사겠느냐에 대한 질문에 “아직은 시기상조다”라고 말했다.

이유는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단점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파트에 살고 있는 그의 경우, 전기차를 구매하려면 먼저 동주민의 모든 동의를 얻어야한다.

완속 충전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 보조금을 받는다는 장점이 있어도 장거리 운전은 피해야 한다.

급속충전기가 설치돼 비상충전과 연계충전을 한다 해도 전국에 330기 밖에 없어 불안감을 떨칠 수가 없다.

1kWh당 330원이 넘는 충전 전기비가 부담되면서 승용 디첼차 대비 연료비 절감이라는 장점도 사라진 상황이다.

결국 세컨드 카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이는 전기차를 일반 가정에서 구입하기는 경제적이나 환경적으로 쉽지 않다.

가까운 중국의 경우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38%에 이른다고 한다.

미국 점유율인 21%를 훌쩍 뛰어넘는 최대 시장인 셈이다.

전기차 산업 환경도 중국은 세계 최고의 수준이다.

전기차 기술표준, 충전소 인프라, 정부 보조금 규모, 배터리 기술 등 따라올 국가가 없을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도 우리나라의 보급 여건은 초라한 수준이다.

우리나라에서 2015년 말까지 공급한 전기차 대수는 5000여대 정도지만 일본의 경우 6만5000대에 이른다.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김필수 교수는 “국내는 충전기 보조금 자체도 미약해 민간 차원의 설치는 꿈도 꾸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 일본은 기기비는 물론 설치비의 과반을 보조하는 중앙정부 차원의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고 있다”며 “심지어 충전기 관리비용을 5년 기본으로 지원 및 관리한다”고 말했다.
전기자동차를 확대 보급하겠다면 말로만 해서는 안된다.

의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정책과 예산, 제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