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시내에 운행 중인 CNG (Compressed Natural Gas, 압축천연가스)버스 한 대는 가정용 도시가스 몇 세대를 커버하는 물량일까?

최근 A도시가스사 영업팀 직원에게 이 같은 질문을 해보니 CNG 버스 한 대에 충전되는 도시가스 물량을 세대수로 환산하면 약 60~70세대 정도에 해당한다고 답했다.

더 이상 공급할 곳이 없는 보급률 포화상태에서 CNG 버스는 도시가스사들에게 가뭄의 단비같은 수요처 역할을 해왔다. 회사마다 CNG 충전소를 직접 운영하며 회사의 핵심사업으로 키워온 이유이다.

사실 올해초까지만 하더라도 유가하락에 의한 가격경쟁력 악화, 유로 6 경유버스의 출시, 정부의 보조금 중단이 이어지며 CNG 시장은 큰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한치 앞도 내다 보기 힘든게 에너지시장이다. 폭스바겐 사태로 경유차에 대한 인식 이 점차 부정적으로 바뀌어 가던 시기에 미세먼지 이슈가 촉발되며 CNG가 자연스럽게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정부는 미세먼지를 잡기 위해 기존 경유버스를 CNG 버스로 대체할 경우 구입비를 기존 600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확대키로 했다.

곧이어 서울과 인천, 대구 등 주요 지자체에서도 ‘노후 경유버스의 CNG 전환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운송사업자에게 CNG버스의 연료에 부과되는 세금에 상당한 금액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도 발의됐다.

사실 CNG 시장이 한동안 위기에 내몰린 것은 업계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경유나 휘발유 보다 당연히 CNG가 친환경적이기에 기술개발이나 홍보 노력없이 정부 정책에 의존한 수동적 태도를 취해온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최근에는 다행히 전국적인 충전인프라 확보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도시가스사들을 중심으로 CNG충전소 공동이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버스운수업계나 차량 제조사를 초대해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CNG 차량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기회가 왔을 때 잡으라는 의미이다. 비온뒤에 땅이 굳는다고 하지만 어디까지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이 전제로 깔려있을 때 해당되는 말일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