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배유리 기자] 달도 차면 기울고 세상일에도 흥망성쇠가 있기 마련이다.

19세기 후반 이후 내연기관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자연스럽게 등장한 주유소 시장은 이제 흥(興) 보다는 쇠(衰)의 기운이 더 강하게 작용하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한 때 1만3000곳을 넘었던 영업 주유소는 불과 6년여 사이 1000곳이 문을 닫아 1만2000곳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완연한 구조 조정기에 접어든 것인데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주유소의 수적 팽창 속에서 석유 소비가 정체되고 수익성 악화가 구조조정의 배경이 되면서 향후에도 상당 수준의 주유소 폐업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주유소 사업에 나서는 것은 민간의 자율적 선택 문제다.

흥하고 망하는 것은 운영자의 경영적 책임의 결과라는 뜻이다.

하지만 정부 주도로 경쟁 여건이나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한 산업이 구조조정에 내몰리게 된다면 단순히 개별 사업자의 판단에 책임을 떠넘길 수만은 없다.

한 해 수백여 곳의 주유소가 문을 닫고 있는데 시장 경쟁을 촉진시킨다며 알뜰주유소, 석유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시장 개입에 나선 정부의 책임도 적지 않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주장이다.

주유소 업종이 기우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주유소 구조조정이 연착륙하면서 산업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정부의 배려는 필요해 보인다.

휴폐업 지원, 전기차 충전 거점으로의 활용 방안 등을 주문하는 주유소업계 목소리에 정부는 책임감을 갖고 경청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