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김신 편집국장] 진단이 잘못되면 처방 효과는 떨어지기 마련이다.

미세먼지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정확한 원인 파악이 이뤄지지 않으면 저감할 수 없다.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인체와 환경에 얼마나 유해한지는 여러 과학적 검증이 이뤄져 있으니 저감 수단을 마련하는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하지만 여러 미세먼지 발생 원인중 어떤 유발 인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집중해 저감시키는 것이 국민 보건에 효과적일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여전히 쉽지 않아 보인다.

보는 시각에 따라 미세먼지 발생 원인이 다르고 이해 관계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 우선 정책 순위도 달라진다.

어떤 전문가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넘어 오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경유하는 서해 백령도나 서울 등 수도권의 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증거로 꼽기도 한다.

경유차에서 뿜어져 나오는 검은 매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 측도 적지 않다.
석탄화력발전도 중요한 미세먼지 발생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자동차 타이어 마모나 각종 비산 먼지도 빼놓을 수 없다.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모든 유해인자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하지만 전국적으로 300만대가 넘는 생계형 화물자동차 운행을 모두 중단시킬 수 없고 가장 중요한 전력 생산원인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을 멈출 수도 없는 일이다.

중국발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서해상에 바람을 차단하는 장벽을 세울 수도 없다.

그래서 객관적이고 사회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검증 과정을 거쳐 가장 위험한 미세먼지 유발 인자를 꼽아 우선 순위에 두고 저감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세우는데 대중에게 당장의 자극적인 요소만 부각시켜서도 안된다.

당장의 미세먼지 주요 인자로 지목됐던 것을 저감하는데 행정력이 집중됐는데도 미세먼지 그림자를 좀 처럼 지우지 못했다면 그때 가서 무슨 핑계를 댈 수 있겠는가?

혈세를 투입해 국민 보건을 개선해야 하는 국책 사업에서 ‘오르다 보니 이 산이 아닌가 보네~’하며 되돌아 내려오는 경솔함과 어리석음을 겪어서는 안된다.

그래서 미세먼지 유발과 관련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정확한 진단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