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전력공급량 충분*소비 급증 탓 아니다
‘원전*석탄화력 늘리느라 전력망 관리 소홀’ 원인 조사 요구
산업부, 재발 방지책 마련*신속한 피해 보상 약속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사진 오른쪽)이 11일 오후 4시 여의도에 소재한 한전 남서울본부 상황실을 방문해 한전 조환익 사장(사진 중앙) 등으로부터 대규모 정전 원인 등을 설명받고 있다.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11일 오후 12시 53분경 영서변전소 차단기 고장으로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산업부가 재발 방지와 피해 보상을 약속했다.

한편에서는 한전이 원전 등 혐오 발전 시설 증설에만 치중하면서 대규모 정전이 초래됐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 구로구와 금천구, 관악구 등 서울 서남부 일대와 경기 광명시 등에서 지난 11일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했다.

정전 영향으로 신호등이 꺼지고 일부 영화관, 쇼핑몰과 아파트 승강기가 멈춰 사람들이 갇히는 등 큰 혼란이 빚어지며 약 19만 가구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정전 발생 20여분 뒤인 오후 1시 15분경에 전기가 신양재변전소로 우회 공급되면서 정전 사태는 멈췄고 한전이 복구에 들어가면서 현재는 전력 공급이 원활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와 한전은 정전을 유발한 영서변전소 설비 노후화를 원인으로 꼽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은 정전이 발생한 11일 오후 한전 남서울본부 상황실을 방문해 영서변전소 고장에 따른 정전 대응 상황을 보고받고 철저한 대응과 재발방지를 독려했다.

또한 한전에서 운영하고 있는 피해접수센터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신속히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당부했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 전력 공급 능력 부족하지 않았다!

하지만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에서는 이번 정전이 원전과 석탄을 확대하느라 전력망 관리에 소홀했기 때문이라며 정전 발생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조사와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이번 정전 사태는 전기가 부족했기 보다는 전력망 관리, 전력계통 운영 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소홀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전기가 풍부해도 전력망에 문제가 생기거나 전력계통을 잘 운영하지 못하면 사소한 고장으로 큰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2011년 발생한 915 정전 사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전력계통운영시스템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감사원 감사까지 받았는데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이번 정전으로 연결됐는지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같은 증거로 11일 정전 발생 당시 공급 능력은 83GW 이상이었고 전력수요는 51GW에 불과해 전력소비 급증이 전력망에 충격을 준 것도 아니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1978년에 건설한 영서변전소 차단기의 내부 절연이 파괴되면서 작동이 멈추면서 설비 고장이 발생한 것이라는 설명은 한전 측의 원인 설명과 같다.

다만 설비 고장이 발생했어도 전력계통 운영을 제대로 했다면 이런 사소한 고장으로 19만명이 정전 피해를 입을 일을 방지할 수도 있었다는 것이 환경운동연합측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전력망을 담당하는 한전과 계통운영을 담당하는 전력거래소의 운영 현황에 대한 근본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전이 원전과 석탄화력발전 건설, 초고압 송전탑, 원전 해외 투자 등에 한 눈 파느라 정작 본업인 전력망 관리에 소홀했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한전과 발전 자회사들이 원전과 석탄을 늘리면서 전력시장에서 거래 단가가 낮아지자 연간 10조 안팎의 영업이익을 챙기고 있는데 전력을 실어 나르는 망 관리 유지 보수 등 관리에 소홀하면서 대규모 정전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환경운동연합은 에너지효율과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저장시설과 같은 유연화기술 등 에너지신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전력망과 운영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제대로 원인을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정부 측에 주문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