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김예나 기자]

2일 두바이유 가격이 전 날 보다 배럴당 11불 넘게 올랐다.

WTI는 2011년 5월 이후, 브렌트는 2014년 6월 이후 최고치를 연일 경신중이다.

원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수급, 가격 모든 면에서 비상이 걸렸다.

최근의 초고유가 상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작동된 영향이 크다.

미국은 세계 3대 산유국인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제재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어 글로벌 에너지 수급 위기감은 더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제에너지기구 회원국인 미국 등 전 세계 31개 회원국이 비축유 방출을 통해 수급 안정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계획이며 우리나라도 그 대열에 합류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에도 국제유가는 세계 석유 수요가 늘어나면서 치솟았고 정부는 지난 해 11월을 기해 유류세 20%를 인하하며 물가 안정 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최근의 초고유가 상황으로 그 효과는 대부분 희석됐고 유류세 인하 이전 보다 더 높은 가격을 기록하는 것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내수 석유 물가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은 비축유를 방출하거나 유류세를 추가로 인하하는 카드 이외에는 뾰족한 대책이 없어 보인다.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보급 확대중인 전기차의 에너지인 전기 역시 석탄, 천연가스 등의 발전 연료 가격이 폭등하면서 비용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에너지전환도 좋지만 석유, 가스 자원의 확보를 병행하는 치밀하고 중장기적인 정책 포트폴리오를 세워 놓지 않으면 재생에너지나 화석연료 모두의 수급과 가격 안정은 언제든지 위협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