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2022년 기준 우리나라 석유가스 자원개발률은 10.5%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에서 도입하는 석유와 가스 중 89.5%는 해외 산유국에서 구매한다는 의미다.

석유가스 자원개발률은 2015년 15.5%를 기록한 이후 매년 감소하며 최근 10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그나마 10.5%라도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개발사업에 투자해 확보한 석유가스 자원가 있으니 100% 모두 외국에 의존하는 것 보다는 낫겠다 싶다가도 국가 수지에서 에너지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수급 위기 상황 등을 감안하면 불안하다.

가장 최근인 9월 우리나라 전체 수입액은 509억불을 기록했는데 이중 22.2%인 113억불을 에너지 도입에 사용했다.

최근 3년 중에는 지난 해 8월 에너지 수입액이 187억불로 가장 많았고 올해 7월은 97억불로 가장 낮았는데 수입액이 국제에너지가격에 마냥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나마 돈을 주고 살 수 있으면 다행인데 주요 산유국과 관련한 지정학적 변란으로 글로벌 수급이 막히면 석유 가스 전량을 수입하는 우리나라의 동력은 꼼짝없이 멈출 수 밖에 없다.

최선은 제 2의 동해가스전을 발굴해 우리 영토 안에서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지만 차선으로라도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 진출해 자원을 확보하면 유가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고 계약 조건에 따라 국내 반입이 가능하니 수급 안정도 꾀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탄소중립으로 향하는 에너지전환 시대에 무슨 화석연료 개발에 투자하냐고 핀잔할 수도 있다.

그런데 최근 10년 사이 우리나라 석유 소비 증가율은 같은 기간 세계 평균인 0.9% 보다 높은 1.5%를 기록할 만큼 의존도가 높았다.

IEA, OPEC 같은 국제기구들의 중장기 전망에 따르면 세계 석유 소비는 2030년을 전후로 정점을 찍겠지만 이후로도 상당 기간 중요한 에너지원 지위를 유지하게 된다.

사정이 이런데도 기후위기에 대응해 화석연료 소비를 줄여야 하니 석유가스 개발이나 확보 노력을 멈추자고 주장한다면 국가 경쟁력을 포기하자는 말과 다름없다.

정권 따라 달라지는 에너지 정책으로 자원개발 방향이 오락가락하는 것도 경계돼야 한다.

석유가스 자원개발은 막대한 초기 투자비가 필요하고 시추, 탐사 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다 성공확률은 낮아 민간 기업이 단독으로 시행하는데 리스크가 너무 커서 정부의 재정 지원이 수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우리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투자액은 김대중 정부 시절 1조 2,227억원, 노무현 정부 때 3조 5,025억원, 이명박 정부 기간 5조5,328억원, 박근혜 정부 당시 1조 23억원, 문재인 정부에는 4,328억원 등 정권 마다 천양지차를 보여 기업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일관된 자원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하고 있다.

현 상황대로라면 우리나라 석유가스 자원개발률은 계속 줄어들고 가격에 상관없이 해외 자원 보유국을 통해 수입하는 물량은 늘어날 것이며 수급 안보 불안에 늘상 시달릴 수 밖에 없다.

일본의 석유가스 자원개발률은 40.1%로 우리나라 보다 4배 정도 높은데 정권이나 유가 변동 여부와 영향 받지 않는 독립적인 해외자원개발 지원기구인 JOGMEC(Japan Oil, Gas Metals National Corporation)이 자원개발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가와 기업을 움직이는 동력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만큼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일본에 뒤쳐진다고 해석해도 무리가 없는데 일본의 일관되고 뚝심있는 자원개발 정책 의지가 부럽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