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업계 추산 kWh 당 140~150원대까지 올라
장기계약 중심 PPA, 에너지가격 변동성 문제 해소
산업계, 녹색프리미엄·REC 보다 PPA 선호 늘어
해외 공급망에 RE100 요구사례 늘지만…국내 여건 개선 필요

산업용 전기요금의 상승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PPA의 가격경쟁력이 개선되고 있다.(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함)
산업용 전기요금의 상승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PPA의 가격경쟁력이 개선되고 있다.(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함)

[에너지플랫폼뉴스 박병인 기자] 최근 산업용을 중심으로 전기요금이 인상되면서 재생에너지 PPA와의 공급가격 격차가 감소하고 있다. 

가경경쟁력 확보와 함께 장기 계약에 따른 가격안정성의 확보도 가능한 재생에너지 PPA에 대한 산업계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산업부, 한전 등은 대용량 수요처가 사용하는 산업용(을)에 한해 kWh 당 10.6원 인상한 바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차례에 걸친 전기요금 인상으로 재생에너지 직접 PPA를 통한 전력구매가격과 비슷해면서 재생에너지 PPA에 대한 가격경쟁력이 확보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산업용 전기요금은 평균 kWh 140~150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전기요금 인상추세와 달리 재생에너지 LCOE는 점점 하락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kWh 당 140원대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 RE100 참여기업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안정화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전기요금과 비교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산업현장에서는 과거에는 PPA가 전기요금과 비교해 가격경쟁력이 부족했었으나 최근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특히 PPA의 경우 RE100을 이행하는데 있어 가격안정성이 크게 장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RE100 달성방안 중 전기소비자가 재생에너지 인증서를 구매하는 방식인 REC의 경우 가격변동성이 높아 최근의 불안정성에 대응하기 어렵다.

소비자가 직접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설치해 전력을 소비하는 ‘자가소비형’의 경우에는 부지문제, 비용문제 등 인프라 구축비용이 크다는 점이 부담이다. 한전으로부터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만 따로 구매하는 녹색프리미엄의 경우 단기적인 가격경쟁력은 장점이겠지만 ‘그린워싱’ 문제로 인한 일부 기업의 재생에너지 불인정 등의 리스크가 있다. 

PPA의 경우 장기계약형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가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산업체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의 에너지가격에 변수가 많은 상황에서는 PPA가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세계적 RE100 확대추세…국내, 부지확보 등 걸림돌
전세계적으로 RE100 확대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대 추세에 있지만 우리나라는 부지설정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애플의 경우 모든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2030년까지 RE100을 요구하고 있다. 애플은 협력사들이 이러한 목표에 얼마나 다가갔는지 연간 진척도를 추적·감사할 예정이다.

볼보의 경우에는 2050년까지 모든 제품을 재생에너지로만 생산, 납품을 요청하고 있다. 유럽은 제조단계부터 탄소를 과다 배출하는 수입을 대상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시범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기업, 국가들의 재생에너지 전환과 RE100 이행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부지설정 등의 제약으로 인해 확대가 제한되고 있다. 특히 공급 측면에서 태양광은 역성장하고 있으며 정책적으로도 활발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또한 태양광의 경우 부지설정에 제약이 많고 계통연계 역시 한계가 있다는 점도 재생에너지의 공급확대를 어렵게 하고 있다.

수요자측면에서는 RE100을 추진하는 기업들에게 인센티브, 세재혜택 등의 유인책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업계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인허가, 전력계통, 이격거리 등의 부지설정 문제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며 “공급이 확대되면 공급-수요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재생에너지 구매비용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수요자 측면에서는 RE100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들에게 일정 부분 인센티브를 제공해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